[CEO풍향계] '수소 전도사' 정의선…'절반의 성과' 배재훈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업 CEO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살펴보는 'CEO 풍향계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국내 10여 개 기업이 참여한 한국판 수소위원회의 출범에 산파 역할을 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노조의 파업 위기 속에 막판 타협을 이끌어 내며 물류대란을 막은 배재훈 HMM 사장 소식을 배삼진, 한지이 기자가 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탄소중립의 대안으로 거론되는 수소, 대기업 총수 가운데 수소 전도사라고 하면 바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죠.<br /><br />국내 10여 개 대기업이 참여한 한국판 수소위원회인 수소기업협의체가 공식 출범했습니다.<br /><br />치열한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들이 수소기술협력을 위해 뭉친 겁니다.<br /><br />정 회장은 "수소가 지구와 인류의 미래를 구해줄 해법"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"지금, 이 순간이 수소사회로 가는 마지막 열차일 수 있다, 아까운 시간이 흘러간다"며 절박감도 드러냈죠.<br /><br />수소가 지속가능한 환경을 후세에게 물려줄 수 있는 대안이 될 수는 있지만, 아직 수소기술은 걸음마 단계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각 기업들이 기술협력에 나서 수소사회를 앞당기자는 취지입니다.<br /><br />정 회장은 2040년 수소사회가 되도록 현대차가 가진 수소기술을 공유하겠다는 입장도 내놨는데, 수소보다 더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는 생각도 드네요.<br /><br />노조와 임단협 막판 타결을 성사시키며 물류대란 우려를 씻어냈죠.<br /><br />배재훈 HMM 사장입니다.<br /><br />오래도록 임금이 동결되면서 노조가 25%의 임금 인상을 요구했는데, 7.9%로 막아냈습니다.<br /><br />국내 경제가 마비될 것을 우려한 노조 측이 TF를 만들어 3년간 임금조정 방안을 논의하자는 안을 받아들인 결과죠.<br /><br />배 사장 입장에서는 HMM의 흑자전환에 이어 파업까지 막아낸 공로를 인정합니다.<br /><br />내년 3월까지인 임기가 연장되는 것일까요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1년 반 동안 100명이 넘는 직원이 그만뒀습니다.<br /><br />임금도 낮은데, 선원들까지 빠져나가니 근무 강도가 다른 글로벌 선사보다 더 셌던 탓이죠.<br /><br />이번 임단협에서 산업은행 눈치만 보면서 배 사장의 역할이 없었다는 평가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배 사장도 고민인 부분일 텐데, 이제는 더 늦기 전에 해운강국 건설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을 해야겠죠.<br /><br />우주를 꿈꾸는 또 한 사람의 경영인이 있네요.<br /><br />한컴그룹 오너 2세인 김연수 대표입니다.<br /><br />계획대로 된다면 국내에서 제일 먼저 민간 위성을 쏘아 올릴 수도 있겠는데요.<br /><br />부친 지분을 인수한 뒤 지난달 각자 대표에 선임되면서 2세 경영을 본격화했죠.<br /><br />현재 미래전략총괄을 맡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내년 상반기부터 내후년까지 초소형 저궤도 광학위성 5개를 쏘아 올려 영상 데이터 서비스 벨트를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지역의 영상 촬영과 분석 시스템을 갖춘 뒤 자체 개발한 드론과 연계해 교육과 국방, 농업에 활용하고, 동남아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기로 한 건데요.<br /><br />김 대표는 인공지능과 로봇, 드론 등 4차 산업분야로 투자를 늘리고 있고, 블록체인 기반의 금, 부동산 현물자산을 거래하는 사업모델도 공개했죠.<br /><br />투자영역 확대의 속도가 대단히 빠른데, 과연 김 대표가 성공이라는 결실을 맺을지 기대해 보겠습니다.<br /><br />도시양봉을 통해 꿀벌 살리기 운동에 동참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구자은 LS엠트론 회장입니다.<br /><br />구 회장은 개체 수가 줄고 있는 꿀벌을 살리기 위해 지난해부터 성북동 자택 뒤뜰에 벌통을 설치하고 도시 양봉을 시작했다죠.<br /><br />꿀벌들이 1년 사이 4만 마리에서 15만 마리로 늘었다고 하네요.<br /><br />1년간 생산된 꿀은 10ℓ로, 지인들에게 꿀벌 살리기 운동에 동참하라며 나눠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벌통을 직접 점검하는 것은 기본이고 벌꿀 채취와 포장도 직접하는 모습을 보니 전문가네요.<br /><br />구 회장은 평소 환경운동에도 열심이라고 합니다.<br /><br />종이컵 대신 머그컵, 사무용품도 플라스틱 제품은 지양하라고 지시했다죠.<br /><br />LS의 '사촌경영' 전통에 따라 이르면 올해 말쯤 LS그룹 회장직을 승계할 수 있다고 전해지는데요.<br /><br />구 회장의 꿀벌 살리기와 환경보호 실천이,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미래 성장 모델로 하고 있는 LS그룹에 나비효과를 일으킬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앞으로 10년간 산업의 모습은 많이 달라질 겁니다.<br /><br />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 속속 ESG 정책을 내놓는 것도 이런 영향이죠.<br /><br />최근 수소사회 건설을 앞당기기 위해 기업들이 협력모델을 만들었는데, 패러다임을 바꿀 기술 분야에서의 협력 더 많아지겠죠.<br /><br />이번 주 CEO풍향계는 여기까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